한국판 뉴딜...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시작으로
이슈!광주전남입력 : 2020. 07. 23(목) 13:41
주승식 전라남도 스마트정보담당관실 정보시스템팀장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다. 어느덧 3년이란 세월이 지나고 지난 5월 10일 문재인 대통령께서는 3주년 대국민 연설을 하셨다. 이 연설 중에 한국판 뉴딜정책의 하나로 디지털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은 혁신적이고 신선함으로 다가왔다. 보통 뉴딜정책 하면 토목 분야를 활성화해 고용을 늘려 소비를 촉진시키는 정책이라는 고정관념을 깬 것이다.

‘한국판 뉴딜정책’의 주요 내용은 금융·의료·교통·공공·산업·소상공인 데이터 확대, 민간 5G 전국망 조기 구축 및 5G+융복합 사업추진, AI 원격교육지원 플랫폼 구축,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등이다. 전통적 산업에 정보기술을 융합해 부가적 서비스를 창출해 데이터 입력,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정책이다.

디지털경제(digital economy)는 지식기반경제라고도 한다. 토지,노동, 자본을 생산요소로 하는 전통산업과 구분해 신경제(new-economy)라고도 부른다. 공장이 없어도 가상의 공간에서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디지털경제는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과 분배, 소비 등의 경제활동이 디지털화되고 정보화되어 전달되는 활동이라 말할 수 있다. 곧 정보기술에 의존하는 경제로, 대표적으로 전자상거래를 들 수 있다. 전자상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를 하므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전자상거래운영업체, 택배 사업 등에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도 있다. 이제는 이 효과에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 전자상거래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는 빅데이터가 되고 인공지능 개발의 기초가 된다. 즉,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야에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이다. 정부 정책인 금융·의료·교통·공공·산업·소상공인 데이터 확대 정책도 이러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

민간 5G 전국망 조기 구축 및 5G+융복합 사업은 정보 송수신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생명인 자율주행차량 발전의 기반이 될 것이다.

디지털경제는 ‘o’과 ‘1’이라는 부호의 조합으로 시작된다. 이 조합은 문자, 숫자, 영상 등 정보를 만들어 낸다. 이를 다른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정보화라 한다. 이제 정부에서 ‘한국판 뉴딜 정책’으로 내놓은 것이 정보화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경제이다. 이 기회를 이번에는 놓쳐서는 안 된다. 고도화된 디지털경제를 목표로 우리 전남도의 현실에 맞는 중·장기적 디지털 생태계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실천이 필요한 때이다.

이를 위해 첫째, 행정의 인공지능화에 대비해야 한다. 정책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정확하고 다양하게 분석해 내려면 도, 시군, 출연·출자 기관, 연구원 등의 정보자원을 통합하거나 공유해 빅데이터 기반을 마련하고 행정의 인공지능화에 대비해야 한다. 둘째, 각 산업의 인공지능화를 위한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다. 스마트팜·스마트어장·스마트축산·스마트공장·금융·의료·교통·공공·산업·소상공인 등에서 생성된 정보를 한 시스템에서 축적해 인공지능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판 뉴딜정책은 데이터경제와 고도의 5G 통신망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의 새로운 산업을 발전시켜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발맞추어 행정과 모든 산업에서의 정보자원의 통합·연계, 빅데이터 형성, 인공지능 개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이끌어갈 새로운 사람과 조직이 필요할 때다. 지방자치단체마다 4차산업 시대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디지털경제지원센터’와 같은 조직의 구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슈!광주전남 hoahn01@hanmail.net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이슈광주전남 PC버전
검색 입력폼